1.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지원 이란?
취약계층 아동의 사회진출 시 학자금・취업・창업・주거마련 등에 소요되는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중앙부처 복지서비스 입니다.
2.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지원 지원대상
■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○ (보호대상아동)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(아동양육시설, 공동생활가정) 보호아동, 가정위탁 보호아동, 장애인생활시설 아동, 소년소녀가정 아동
○ (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) 중위소득 40% 이하의 수급 가구(생계, 의료 급여)의 만12세부터 만17세까지 아동 중 신규 선정하여 만18세 미만까지 지원
○ (기 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 및 탈수급가구 아동)
- 보호대상아동이 가정회복으로 중도에 가정으로 복귀하는 아동도 계속 지원
-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또한, 해당 가정이 중위소득 40%를 초과해도 계속 지원
■ 정부(지자체)의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.
○ 희망플러스(서울시), 꿈나래(서울시) 통장 등과 중복지원 금지
○ 서울시는 ‘꿈나래통장’ 사업과 지원가구 중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초수급자 아동 사업지역에서 제외
○ 다만, 지원대상 및 사업취지를 고려하여, ‘희망키움통장’과는 중복지원 가능('13.1.1~)
3.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지원 서비스내용 및 신청방법
<서비스 내용>
■ 아동(보호자, 후원자)이 매월 일정금액 적립 시 월 5만원 내의 범위에서 1:2 매칭 지원합니다.
○ (기본 매칭적립) 아동이 후원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 등으로 적립 시 월 5만원 내의 범위에서 1:2로 매칭하여 국가(지자체)가 월 10만원 내 지원
○ (추가 적립액) 5만원 적립 후 월 45만원(연간 540만원) 내에서 추가 적립 가능, 추가 적립액에 대한 국가 매칭은 없음
■ 적립금의 사용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.
○ 만 18세(만기) 이후 학자금,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비용, 창업지원금, 주거마련 지원 등 자립 용도에 한해 사용가능
○ 만 24세까지 학자금, 기술자격취득, 주거마련 등 자립사용용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, 만 24세 도달 시 사용 용도 제한 없이 아동 적립금 및 정부매칭지원금의 지급 가능
<신청방법>
■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,우편,팩스 또는 복지로(bokjiro.go.kr)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.
○ 복지로 온라인신청 경로: 복지로 로그인 > 서비스 신청 > 복지서비스 신청 > 복지급여 신청 > 아동청소년 >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
4.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지원 복지사례
아껴쓰고 열심히 모아서 디딤씨앗통장을 살찌게 하면, 내가 커서 사회에 나갈 때 큰 힘이 된대요.
어린이들이 먼 훗날 필요한 사회진출비용을 스스로 마련하는 능력을 키우고 꿈을 잃지 않도록 지원합니다.
“내 미래를 위한 첫 번째 설계, 디딤씨앗통장”
친구: 너 이번 달 과학 잡지 샀어? 샀으면 빌려주라. 미주: 이번 달에는 과학 잡지 못 샀다. 친구: 왜? 너 알바한 걸로 매달 샀었잖아? 미주: 얼마 동안 좀 아끼면서 살기로 했거든! 친구: 너 알바하잖아? 뭐가 부족하다고 아끼냐? 미주: 알바해서 모은 거 디딤씨앗통장에 다 넣었어. 친구: 뭔 씨앗? 그게 뭔데 알바비를 다 넣었어? 미주: (통장 사진 올리고) 이 봐라! 나처럼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을 위한 통장이래. 나중에 커서 사회에 나갈 때 큰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고. 친구: 와! 두 배네?!! 미주: 그래서 당분간은 내 미래를 위해서 열심히 저축하기로 했다! 친구: 와 너한테 잘 보여야겠는데? 사회 나가면 바로 성공하는 거 아냐?!! 미주: 저축을 열심히 하게되니까 일단 마음은 든든해! 친구: 우리 미주 화이팅!
'쏠쏠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급식비 지원 (0) | 2023.06.23 |
---|---|
이동통신 요금감면 (0) | 2023.06.23 |
장애아 가족 양육지원 (0) | 2023.06.17 |
장애수당 지원 (0) | 2023.06.17 |
여성 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(0) | 2023.06.17 |